Record4me

시작하면 끝을 봐야지

ContextAPI 2

[TIL] 24_0214 세번째 프로젝트를 마치며, prop-drilling-context-redux

-세번째 프로젝트를 마치며, 휴먼에러로 삽질만 몇 번을 했는 지 모를 2일을 보내고 다른 2일간은 prop-drilling, 1일은 redux로 개선하는 시간을 보냈어. 첫번째 삽질만 아니었어도...하지만 의미있는 삽질이었어. ㅎㅎ prop-drilling-context-redux 처음 prop-drilling할 때 휴먼에러로 고생한 것과 초기 state 데이터 형태가 배열과 객체로 따로 관리되서 setState로 변한 값을 설정해줄 때 데이터 형태를 어떻게 뿌려줄 지 무지 고민했던 것 같아. contextAPI를 사용해서 state를 공유하니까 정말 세상 편하지 않을 수가 없더라. prop-drilling에서 답답했던가 1차로 싸악 풀렸어. 하지만 최상위 컴포넌트에서 state를 보내주려고 하니까 왔다..

개발일지 2024.02.03

[TIL] 23_0127 useContext(context API)

useContext -react context의 필요성 부모=> 자식 컴포넌트로 데이터 전달할 때 props로 전달했어. 부모 => 자식 => 그 자식 => 그자식의 자식 => prop driling 이런 위에서 아래로 props를 보내는 props drilling => 깊이가 너무 깊어지면 부모에서 자식으로 넘겨줄 때 여러개의 컴포넌트있을 경우 어디에서 prop이 왔는 지 알수 없기도하고 오류가 무조건 생기며 원인 파악 힘들어 하지만 context API를 쓰면 전역으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어 어떤 컴포넌트든 전역적으로 선언되어있는 데이터에 접근 가능해. contextAPI 필수 개념 createContext : context 생성 (컨텍스트를 만드는) Consumer : context 변화 감지 (..

개발일지 2024.01.27